본문 바로가기
정대리Vlog

[경주여행] 약 25년 만에 다시 가는 불국사와 석굴암 여행기-1-

by 정대리(30대) 2023. 8. 6.
728x90
반응형

23.07.28일 생일을 맞아 경주에 라한셀렉트에 유여사님과 호캉스를 즐기다가 그래도 경주에 왔는데 불국사와 석굴암은 국룰 아니겠는가? 그래서 한번 가보기로 했다. 진짜 무더위였지만 말이다

 

경주 불국사

일단 세계유산이 되어버린 경주 불국사를 한번 알아보자.

불국사는 신라 경덕영 10년에 재상 김대상이 발원하여 개창되고, 혜공왕 10년에 완성되었다. 조선 선조 26년 임진왜란 때 의병의 주둔지로 이용된 탓에 일본군에 의해 목조 건물이 모두 불타 버렸다. 그 후 대웅전 등 일부를 다시 세웠고, 1967~1973년 처음 건립 당시의 건물터를 발굴조사하고 대대적으로 복원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불국사는 화려하고 장엄한 부처의 나라를 이 땅에 세워 찬미하던 수도자들이 불도를 닦던 곳이다. 풍부한 상상력과 예술적인 기량이 어우러진 신라 불교 미술의 정수로, 1995년 석굴암과 더불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

 

반응형

불국사를 거늴며

불국사 입구를 지나면 천왕문을 먼저 통과하게 된다. 천왕문은 불법을 수호하는 4천왕을 모신 전각들이 있다. 4천왕은 불법을 수호하며, 수행자의 번뇌와 좌절을 없애 수행에 정진하도록 도와준다.

4대천왕인데 전부다 한 성격하게 생기셨다. 그러니까 불법을 수호하시겠지. 

 

경주 불국사 대웅전

불국사 대웅전 전면의 동측에는 다보탑이 배치되어 있고, 서측에는 석가탑이 배치되어 있다. 또, 대웅전 전면에는 팔각을 기본으로 한 전형적인 통일신라 석등이 배치되어 있다.

대웅전은 정면 5칸, 측면 5칸의 동서가 약간 긴 장방형의 평면으로 단층 팔작 기와지붕이며, 조선 후기의 다포계 형식을 가지고 있다. 대웅전의 외관은 중앙의 어칸을 협칸(8.7尺)이나 퇴칸(8.2尺)보다 배이상 넓은 주칸(17.7尺)으로 꾸며졌다.

공포는 다포로 어칸에 3구의 공간포가 배치되었고, 협칸과 퇴칸에는 1구의 공간포가 배치되어 있다. 살미첨차에는 초화문양(草花文樣)과 봉황(鳳凰) 머리를 조각하였고, 평방에서 돌출된 용머리 조각 등은 매우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대웅전 정면의 어칸은 사분합꽃살문이고, 협칸과 퇴칸은 쌍분합교살문이며, 양측면의 문은 삼분합띠살문으로 꾸며졌으며, 후면의 어칸은 사분합정자살문이며, 협칸은 벽체로 막았고 퇴칸은 분합정자살문으로 20칸중 10칸은 문을 설치하여 개방 했다.

기단은 면석에 우주(隅柱)와 탱주(撐柱)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에 갑석(甲石)을 덮은 통일신라시대의 가구식 기단(架構基壇)이다. 기단의 사면 중앙부에는 계단이 놓여 있고, 계단 양측의 소맷돌은 측면을 삼각형 문양으로 가공하였다.

천정은 우물 천정인데 층단식으로 중앙이 높게 꾸며졌다.

-출처 :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jsessionid=I4tmWxYw020zywhgjBjtZ4CigO3A9ER5elwluV7YlE3GabcwxhREX69qCrFqsneg.cpawas_servlet_engine1?pageNo=1_1_2_0&ccbaCpno=1123717440000 

 

보물 경주 불국사 대웅전 (慶州 佛國寺 大雄殿) : 국가문화유산포털 - 문화재청

문화재 검색 보물 경주 불국사 대웅전 (慶州 佛國寺 大雄殿) Daeungjeon Hall of Bulguksa Temple, Gyeongju 해당 문화재의 정보입니다. 분류, 수량/면적, 지정(등록)일, 소재지, 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관리

www.heritage.go.kr

 

반응형

다보탑과 석가탑

좌 : 다보탑 / 우 : 석가탑

석가탑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과 경주 불국사 다보탑(국보)은 절의 대웅전 앞 뜰 동서쪽에 각각 세워져 있는데, 서쪽탑이 삼층석탑이다. 탑의 원래 이름은 ‘석가여래상주설법탑(釋迦如來常住設法塔)’으로, ‘석가탑’이라고 줄여서 부른다.

 

두 탑을 같은 위치에 세운 이유는 ‘현재의 부처’인 석가여래가 설법하는 것을 ‘과거의 부처’인 다보불(多寶佛)이 옆에서 옳다고 증명한다는『법화경』의 내용에 따른 것이다. 석가탑(경주 불국사 삼층석탑)과 다보탑은 우리나라의 가장 대표적인 석탑으로, 높이도 각 10.75m, 10.29m로 비슷하다

석가탑은 불국사가 창건된 통일신라 경덕왕 10년(751)때 조성된 것으로 추측되며,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석탑으로, 경주 감은사지 동ㆍ서 삼층석탑(국보)과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국보)의 양식을 이어받은 8세기 통일신라시대의 훌륭한 작품이다.

탑 전체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2층의 기단이 튼실하게 짜여 있으며, 목조건축을 본따서 위·아래층 기단의 모서리마다 돌을 깎아 기둥 모양을 만들어 놓았다. 탑신에도 그러한 기둥을 새겼으며, 지붕돌의 모서리들은 모두 치켜올려져 있어서 탑 전체에 경쾌하게 날아오르는 듯한 느낌을 더한다.

1966년 9월에는 안타깝게도 도굴꾼들에 의해 탑이 손상되는 일이 있었으며, 그해 12월 탑을 수리하면서 2층 탑신의 몸돌 앞면에서 부처님의 사리를 모시던 사각형의 공간을 발견하게 되었다. 

 

여기서 여러가지 사리용기들과 유물을 찾아냈는데, 그 중에서 특히 눈길을 끄는 것은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국보)이다. 이것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인쇄물로 닥나무 종이로 만들어졌다.

탑의 머리장식(상륜부)은 16세기 이전에 유실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1973년 남원 실상사 동ㆍ서 삼층석탑(보물)의 머리장식을 본따서 복원하였다. 탑 주위로 둘러놓은 주춧돌 모양의 돌에는 연꽃무늬를 새겼는데, 이를 부처님의 사리를 두는 깨끗한 곳이라는 뜻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이 탑은 ‘무영탑(無影塔:그림자가 비치지 않는 탑)’이라고도 불리우는데, 여기에는 석가탑을 지은 백제의 석공(石工) 아사달을 찾아 신라의 서울 서라벌에 온 아사녀가 남편을 만나보지도 못한 채 연못에 몸을 던져야 했던 슬픈 전설이 서려 있다.

-출처 :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13700210000&pageNo=1_1_2_0 

 

국보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慶州 佛國寺 三層石塔) : 국가문화유산포털 - 문화재청

문화재 검색 국보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慶州 佛國寺 三層石塔) Three-story Stone Pagoda of Bulguksa Temple, Gyeongju 해당 문화재의 정보입니다. 분류, 수량/면적, 지정(등록)일, 소재지, 시대, 소유자(소유

www.heritage.go.kr

 

반응형

 

 

다보탑

다보탑과 석가탑(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국보)은 우리나라의 가장 대표적인 석탑으로, 높이도 10.29m, 10.75m로 비슷하다. 절내의 대웅전과 자하문 사이의 뜰 동서쪽에 마주 보고 서 있는데, 동쪽탑이 다보탑이다. 

 

다보탑은 특수형 탑을, 석가탑은 우리나라 일반형 석탑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두 탑을 같은 위치에 세운 이유는 ‘과거의 부처’인 다보불(多寶佛)이 ‘현재의 부처’인 석가여래가 설법할 때 옆에서 옳다고 증명한다는『법화경』의 내용을 눈으로 직접 볼 수 있게 탑으로 구현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석가탑을 보면 2단의 기단(基壇)위에 세운 3층탑이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지만, 다보탑은 그 층수를 헤아리기가 어렵다. 십(十)자 모양 평면의 기단에는 사방에 돌계단을 마련하고, 8각형의 탑신과 그 주위로는 네모난 난간을 돌렸다.

탑이 건립된 시기는 불국사가 창건된 통일신라 경덕왕 10년(751)으로 추측된다. 목조건축의 복잡한 구조를 참신한 발상을 통해 산만하지 않게 표현한 뛰어난 작품으로, 4각, 8각, 원을 한 탑에서 짜임새있게 구성한 점, 각 부분의 길이·너비·두께를 일정하게 통일시킨 점 등은 8세기 통일신라 미술의 정수를 보여주고 있다.

안타깝게도 다보탑에는 일제에 나라를 빼앗겼던 설움이 고스란히 전해져 온다. 1925년경에 일본인들이 탑을 완전히 해체, 보수하였는데, 이에 관한 기록이 전혀 남아 있지 않다. 

 

또한 탑 속에 두었을 사리와 사리장치, 그 밖의 유물들이 이 과정에서 모두 사라져버려 그 행방을 알 수 없게 되었다. 그리고 기단의 돌계단 위에 놓여있던 네 마리의 돌사자 가운데 3마리가 일제에 의해 약탈되어, 이를 되찾기 위한 노력이 오래전부터 있었으나 아직까지 그 행방을 알 수가 없으며, 현재 1마리의 돌사자가 남아있다.

-출처 :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13700200000&pageNo=1_1_2_0 

 

정대리생각

예전에 초등학교 때는 왜 이딴것을 보러 왔는가, 이게 무슨의미를 지니는 지를 몰랐다. 25년만에 방문을 하니까 느낌이 다르다. 일단 이것을 만들 때 고생한 기술자들의 노고가 먼저 떠올랐다. 그리고 통일신라시대에 불교에 대한 예술적 감각이 엄청 뛰어났다는거다. 예전 국사시간에 들었을 때 석가탑과 다보탑에 대한 설명을 들었을 때 선생님께서 지금은 돌만 남아있어서 별볼일 없는거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엄청화려하게 장식을 해놓은거라고 설명을 들은 기억이 있다.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우리나라 문화유산 불국사를 오래 지켜나가자.

 

 

 

728x90
반응형